김치의 영양 및 효능
한국에 살 때는 전혀 몰랐고 해외에 나와 살다 보니 11월 22일 김치의 날이 있다는 것도 알았고 11가지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11월에, 22가지 효능이 있어서 22일로 정하여 김치의 날을 기념한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한국에 살았으면 전혀 몰랐을 것이다. 우리들이 밥상에서 습관적으로 먹는 것이 김치였으니까 그래서 김치의 영양과 효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김치의 영양
김치의 효능
김치의 영양
김치의 영양가는 김치 제조 시 첨가되는 재료에 따라 기본적으로 영양 가치가 변하고, 발효 중 영양소의 변화는 숙성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김치는 발효 과정을 거쳐 맛있게 익게 되면 특히 비타민C가 많아지고 고추, 무청, 파, 갓, 열무 등의 녹황색 채소가 많이 섞이면 비타민A(카로틴)가 많아진다.
김치의 아미노산과 지방 질은 젓갈류, 굴의 해산물 또는 육류의 첨가에 의해 증가되며 이들은 유기산, CO2, 조미향신료 와 함께 김치의 독특한 맛에 영향을 끼친다.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 무, 열무, 갓, 고추, 파, 마늘, 생강 등에는 많은 양의 항산화 비타민인 비타민 A, C와 무기질, 섬유질이 함유되어 있어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다. 김치 주재료의 열량은 매우 낮으나 비타민, 무기질 함량 등의 생리적 조절 작용을 하는 물질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무기질 함량 중 특히 칼슘의 함량이 높다.
성인 1인 1회 분량의 배추, 열무 등의 김치를 (약 40~60g) 하루 3회 정도 섭취할 경우 비타민C는 약 배추김치 17~25mg, 열무김치 30~45mg으로 한국인 1일 권장량인 100mg의 1/3 정도를 김치로부터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김치의 효능
효능 1 : 김치는 체중조절을 도와준다.
각종 채소는 적은 열량으로 포만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김치가 발효되어 생기는 유산균은 발효과정에서 장 내 유용 미생물의 증식에도 도움이 되고 변비와 대장암 예방에도 좋다. 김치는 식이 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체중조절에 도움을 주고, 특히 고추에는 캡사이신이라는 성분이 있어 신진대사작용을 활발히 함으로써 지방을 연소시켜 체중조절에 도움을 준다.
효능 2 : 장 기능 개선을 촉진한다.
소화가 잘되고 장을 깨끗이 하는 정장 작용을 한다는 것도 김치의 매력이다. 김치에 들어있는 식이섬유, 무기질, 비타민, 프로바이오틱스와 더불어 김치 유산균은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서구화된 식생활 등으로 균형이 깨진 장 내 환경을 개선하여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도우며 대장 기능을 증진시켜 변비, 설사, 장염을 완화한다.
효능 3 : 면역력 증진 및 성인병을 예방한다.
김치에 들어있는 각종 채소의 식이 섬유와 향신료, 유산균은 혈중에 있는 나쁜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려서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준다. 마늘, 파 등 김치의 재료들 에는 항산화 비타민과 항 세균 성분이 풍부하여 노화를 억제하고, 암을 예방하며 면역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마늘과 생강에 있는 알리신, 진저롤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은 종양 형성을 억제하고 체내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이는 위암, 유방암, 대장암 등도 억제한다.
효능 4 :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효과가 있다.
김치의 배추, 고추, 마늘, 생강에 있는 설포라판, 캡사이신, 알리신, 진저롤 등의 생리활성 물질은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체내 염증 감소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 김치의 재료가 되는 각종 채소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클로로필, 비타민C 등과 같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다. 이 성분들은 인체 내의 항산화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여, 정상세포를 공격하는 유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나 조직의 산화 방지에 효과가 있다.
효능 5: 뇌 기능 촉진하는 ‘브레인 푸드’이다.
잘 익은 김치는 뇌 활성 아미노산인 가바(GABA)가 많이 들어있다. 가바(GABA)로 불리는 감마-아미노 부티르산(Gamma-Amino은 뇌기능 촉진, 집중력 향상, 정신안정, 혈압저하 등의 생리적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아미노산이다. 두뇌 활동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섭취해야 하는 가바의 양은 1일 50~100mg정도로 잘 숙성된 김치에는 100g당 20.4mg 가바가 포함되어 뇌 기능 촉진에 도움을 준다.
김치는 11가지 재료가 모여 22가지 효능을 낸다고 하며 2020년부터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법정기념일로 제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우리의 우수한 식문화 중 하나인 김치의 영양과 효능을 알아보았다. 김치는 이제 한국을 넘어 세계인의 식탁으로 더욱 많이 오르기를 기원합니다!!
'색다른 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브라질전 승리 확률 (0) | 2022.12.04 |
---|---|
포르투갈의 한국전 전략 (0) | 2022.12.01 |
일론 머스크 새 별명 “뉴트론 일론” (4) | 2022.11.23 |
세계인구 80억명시대 (2) | 2022.11.19 |
카타르 월드컵 한국 16강 통과 가능 (4)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