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이 팬데믹 끝났다고 했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말인 지난 18일 CBS 인터뷰를 통해 발표한 코로나19 전 세계 대유행 종식 선언이 외신에서 회자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60분'에 출연, "우린 아직 코로나 문제를 겪고 있고, 그 때문에 많은 일을 하고 있지만, 그래도 팬데믹은 끝났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는 앞서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 스 세계 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팬데믹의 끝이 보인다"라고 한 지 나흘 만에 나온 발언이라 더욱 눈길을 끌었다.
코로나19 감염 상황은 어떤가.
공식적인 美 팬데믹 종식 선언인가.
미국서 팬데믹이 물러나고 있다는 징후는 무엇인가.
미국에서 팬데믹은 정말 끝났을까.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N,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의 검증 보도를 바탕으로 미국의 코로나19 감염 상황과 바이든 대통령 발언의 타당성을 짚어봤다.
코로나19 감염 상황은 어떤가.
국제통계사이트 월드 오 미터에 따르면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처음 이뤄진 이래, 지금까지 6억 1741만 7815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누적 사망자는 653만 1369명이며, 이 중 올해 사망자는 100만 명 정도다.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 종식이 가까워졌다고 밝힌 근거로는, 백신과 치료제가 실제로 사망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됐고, 9월 첫째 주 사망자 수가 2020년 3월 이래 최저치라는 점이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하루 평균 400명 가까운 사람들이 코로나19로 계속 사망하고 있다. 코로나19 중증을 의미하는 입원환자 수도 하루 평균 4300여 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미국 내 코로나19 장기 후유증 이른바 '롱 코비드' 환자는 2300만 명으로, 이들은 아직도 기나긴 바이러스와의 싸움을 하며 살고 있다.
공식적인 美 팬데믹 종식 선언인가.
물론 아니다. 미국은 WHO가 2020년 1월 처음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한 이래 이를 계속 연장해오고 있다. 가장 최근인 지난 7월 15일 결정에 따라 10월 13일까지 연장된다.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대로 미국에 코로나19가 종식됐다면 10월 PHEIC는 더 연장되지 않아야 하겠지만, 주무부처인 미국 보건인 적자 원부(HHS)는 10월에도 연장 결정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그 3개월 후인 2023년 1월 미국은 공식적으로 PHEIC를 종료할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망했다. 백악관 코로나19 대응 조정관 아시시 자 같은 보건 당국자들은 이달에도 "팬데믹은 끝나지 않았다"라고 말했지만, 바이러스와의 싸움에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은 인정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iSazo/btrMTWYtsEa/4HG5HvnZCXJ8D0Y8kJzmJk/img.jpg)
미국서 팬데믹이 물러나고 있다는 징후는 무엇인가.
바이든 대통령의 팬데믹 종식 발언은 디트로이트 오토쇼에 대해 얘기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북미 최대 규모 행사인데도, 대통령 주변에 마스크를 쓴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게 그의 언급이다. CDC는 올해 2월부터 코로나19 감염 수준이 낮거나 중간인 지역(전국의 약 87%)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이 필요 없다고 권고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미 연방정부 기관들도 건물 내 마스크 착용 요건을 삭제했다.
대중교통 내 마스크 강제 착용 역시 법원의 판결로 중단됐다. 이후 뉴욕 등 대부분의 주(州)가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했다. 이 밖에 전국 대부분의 학교는 원격 수업 대신 대면 수업을 재개했고, CDC는 이제 바이러스에 노출된 자도 특별한 증상이 없으면 격리를 권장하지 않는다고 지난달 밝혔으며, 이는 백신 미접종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미국 인구의 약 95%가 백신 접종을 완료했거나 이전 감염으로 인한 면역을 획득했다고 CDC는 전했다. 미국은 오미크론 하위변이 BA.4·5를 겨냥한 개량 백신으로 추가 접종을 이달 시작했으며, 미 방역 정책을 총괄하는 앤서니 파우치 박사는 이를 연례 독감 백신 접종에 비유했다.
![](https://blog.kakaocdn.net/dn/9vF7D/btrMUSt9wwA/1j1nnbnTBvBHqs5vlzeI8k/img.jpg)
이날 미 언론들은 일제히 바이든 대통령이 경솔한 발언을 했다고 질타했다.
WSJ는 하필 발언 시점이, 백악관이 의회에 코로나19 대응 예산 224억 달러를 요청하고 행정부가 오는 30일 예산 통과를 추진하는 가운데 나온 점을 들어 지적했다. 연방정부는 이 예산으로 백신 추가 구매 및 추가 개발에 나서려는데, 예산을 깎을 빌미를 공화당에 주는 꼴이 됐다는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공화당 일각에선 기다렸다는 듯 이날 정책 변화를 촉구했다. 론 존슨 상원의원은 "팬데믹이 공식적으로 끝났으니 이제 모든 백신 의무화를 종료할 때"라고 했고, 토마스 마시 하원의원은 "팬데믹을 전제로 한 대통령과 주지사의 모든 비상 권한은 무효가 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일부 공중보건 전문가들의 견해를 인용, 정치적 동기가 대중의 건강을 보호하기보다는 팬데믹 종식을 선언하려는 대통령의 욕구를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네소타대 전염병연구소 마이클 오스터홀름 소장은 "우리 모두는 팬데믹이 끝나기를 원하지만 정책 결정만 한다고 해서 팬데믹이 사라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바이든이 팬데믹 끝났다고 했는데 그러면 팬데믹은 언제 끝났는가?
팬데믹 종식은 결국 코로나19가 풍토병인 엔데믹으로 변화하면서 이뤄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자연스럽게 흘러가다 보니, 팬데믹 종식 선언은 실제 종식 이후에 이뤄질 것이라는 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수렴한다.
즉, 먼저 종식을 선언한다고 종식이 되는 게 아니라, 이미 전염병적으로는 자연스럽게 엔데믹이 된 뒤 사회적·정치적 의미로 종식 선언이 이뤄지는 모습으로 나아갈 것이란 전망이다.
'색다른 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연준 너무 급 브레이크 밟았다!! 경기침체 (7) | 2022.10.02 |
---|---|
영화 '늑대사냥' 10월 7일 캐나다 개봉 (4) | 2022.09.29 |
비트코인 6.6% 급등, 결국 2만 달러마저 돌파 (2) | 2022.09.27 |
'시진핑 축출됐다' 가짜뉴스, SNS서 확산…인도 언론, 집중 보도 (0) | 2022.09.26 |
나이키 리셀 금지·롤렉스 10부제 도입 (2) | 2022.09.22 |